상트페테르부르크의 역설(비교)
r3 vs r4 | ||
---|---|---|
... | ... | |
3 | 3 | == 개요 == |
4 | 4 | '''St. Petersburg paradox / St. Petersburg lottery''' |
5 | 5 | |
6 | 확률을 무한급수로 나타내고 경우의 수에 따라 배정된 값을 같은 방식으로 증가시키면 [[기댓값]]이 무한이 된다는 역설. 수학자 [[베르누이 가문|니콜라 베르누이]]가 이 패러독스를 공식 제시한 곳이 [[상트페테르부르크]] 제국 과학 아카데미였기 때문에 명명되었다. |
|
6 | 확률을 무한급수로 나타내고 경우의 수에 따라 배정된 값을 같은 방식으로 증가시키면 [[기댓값]]이 무한이 된다는 역설. 수학자 [[베르누이 가문|니콜라 베르누이]]가 이 패러독스를 공식 제시한 곳이 [[상트페테르부르크]] 제국 과학 아카데미였기 때문에 명명되었다. '성 페테르부르크[* Saint Petersburg의 Saint를 성자라는 보통명사로 해석한 것이지만 정확한 독음법은 아니다.]의 역설'이라 하기도 하고 양키들은 '세인트 피터스버그[*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영어식 독음법.]의 역설'라고 부른다. |
|
7 | 7 | |
8 | 8 | == 문제 제기 == |
9 | 9 | [[기댓값]] 문서에도 나와있지만, 확률에 배정된 값을 얻을 수 있는 기댓값은 (확률)×(배정된 값)의 총합이다. 예를 들어 주사위를 던졌을 때 각각의 눈이 나올 확률은 1/6이고, 해당되는 눈은 {1,2,3,4,5,6}이므로 기댓값은 (1+2+3+4+5+6)×(1/6) = 3.5가 된다. |
... | ... |